엘리뇨 현상에 대해 원인과 사례, 대처방법
본문 바로가기
지식

엘리뇨 현상에 대해 원인과 사례, 대처방법

by 스파니엘 2023. 5. 24.

 

우리나라의 4계절이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어 날씨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특히 폭설, 폭우, 가뭄, 우박, 35도 넘는 더위 등 이상 기온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올여름에는 폭우와 비가 오는 날이 많다고 예측하고 있어 이와 같은 원인이 과학적으로 엘리뇨 현상이라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엘리뇨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엘리뇨 현상의 원인

엘리뇨는 태평양의 바닷물 온도 이상 현상으로 가뭄과 홍수, 기상 이변 등 다양한 기후 현상과 자연재해의 원이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엘리뇨 현상은 발생 패턴이 불규칙하고 복잡하여 예측이 어럽다고 알려져 있으며, 발생 주기는 2~7년 주기로 발생하며, 발생 지역은 동태평양과 중태평양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태평양 해역의 수온이 상승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중위도 지역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엘리뇨 발생 사례

  • 1982년 ~ 1983년 : 해당 연도에 엘리뇨는 규모와 영향력 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기상 조건이 변화하며 폭염, 가뭄, 홍수 등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 1997년 ~ 1998년 :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엘리뇨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와 호주를 비롯한 지역에서 가뭄과 태풍, 홍수 등의 재해가 발생하였습니다.
  • 2014년 ~ 2016년 : 태평양 태풍 활동을 증가시켜, 중남미 지역에서 가무이 심화되고, 산불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로 인한 기후 변화는 농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쳤으며, 식량 부족에도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 2018년 ~ 2020년 : 온난한 날씨와 가뭄을 유발하여 농작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식량 가격이 상승,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식량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사례

바닷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대기와 해양의 흐름이 달라져 기후 현상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뇨 발생은 간접적으로 우리나라의 날씨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평상시와는 다른 기후 상태를 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이 나타나거나, 비가 적게 내리던 지역에 홍수발생하는 등, 가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엘리뇨의 발생 시기와 정확한 영향을 예측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며, 기상 전문가들은 엘리뇨가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우리나라에 엘리뇨 영향에 따른 피해 사례입니다. 

  • 폭염과 가뭄 : 1997년과 2015년에 엘리뇨 발생으로 전국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가뭄이 발생.
  • 강수량 변동 : 1997년에 한반도 전역에 강수량이 감소하여 농작물 피해가 발생.
  • 해수면 상승과 해안 침식 : 2015년에 해안 침식으로 해안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
  • 식량 생산 감소 : 1997년에 벼 생산량이 감소하고 농작물 가격이 상승.
  • 해양 생태계 변화에도 영향을 주어 어종 분포와 어획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엘리뇨 영향에 대처방법

엘리뇨 발생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며, 엘리뇨 발생 시기와 장소에 대해서는 기상청이나 관련 기관의 정보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엘리뇨로 인한 가뭄과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농업 및 수자원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예방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및 적응 능력을 강화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를 갖춰야 하겠습니다.

 

국내 지진 발생 원인과 대비책

 

국내 지진 발생 원인과 대비책

최근에 국내에서 지진발생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진은 자연재해로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이번 포스팅에서 발생원인과 사례를 가지고 최소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

hli0317.tistory.com

 

댓글